티스토리 뷰

추석 명절,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차례상은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입니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상차림은 많은 사람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이 글에서는 추석 명절 상차림 음식 배치 및 차례상 차리는 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려 누구나 따라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추석-차례상-완벽하게-차리는-법-가이드

 

추석 명절 상차림 차례상, 왜 차릴까요?


차례상은 단순히 음식을 차리는 것을 넘어, 조상님께 감사하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의미를 지닙니다. 과거에는 엄격한 절차와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했지만, 현대에는 가족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간소화된 차례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추석-차례상-차리는-법

 

추석 차례상 음식 배치 상차림 방법: 단계별 가이드

 

추석 차례상 음식 배치 상차림하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 상을 차리는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로 가이드를 정리하였습니다.

1. 상차림 전 준비

  • 자리 정하기: 북쪽을 향해 상을 놓고 병풍을 칩니다. 북쪽은 조상을 상징하며, 병풍은 외부의 기운을 차단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 상보 깔기: 깨끗한 상보를 깔고, 과일을 놓을 잔등을 깔아줍니다. 상보는 깨끗하고 정갈한 느낌을 주며, 잔등은 과일이 굴러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2. 과일 차리기

  • 조율이시: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습니다. 조율이시는 조상님께 드리는 과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말로, 각 과일은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붉은색은 양기를, 흰색은 음기를 상징하며, 음양의 조화를 나타냅니다.
  • 홀수 개수: 과일은 홀수 개수로 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홀수는 양수를 의미하며, 길한 숫자로 여겨집니다.


3. 전과 나물 차리기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놓습니다. 동쪽은 양기를, 서쪽은 음기를 상징하며, 음양의 조화를 이룹니다.
  • 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습니다. 생선의 머리는 조상을 향하고, 꼬리는 밖을 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좌포우혜: 포는 좌측, 식혜는 우측에 놓습니다. 포는 귀한 음식으로 좌측 상단에 놓으며, 식혜는 달콤한 음료로 우측 상단에 놓습니다.


4. 밥과 국, 술잔 차리기

  • 밥과 국은 잔등에 담아 놓고, 술잔은 밥 앞에 놓습니다. 밥과 국은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으로 정성껏 준비합니다.
  • 술잔은 잔등 앞에 나란히 놓고, 술을 조금씩 따라줍니다.


5. 지방 모시기

  • 지방은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곳으로, 가문의 풍습에 따라 다릅니다.
  • 지방을 모시는 자리에는 향을 피우고, 촛불을 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례상

  • 간소화: 꼭 필요한 음식만 준비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다양화: 전통 음식 외에도 가족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추가하여 즐거움을 더합니다.
  • 현대화: 예쁜 그릇이나 잔을 활용하여 차례상을 더욱 멋스럽게 꾸밉니다.


4. 특별한 추석을 위한 아이디어

  • 테마를 정하여 차례상 준비하기: 가족 구성원의 취향을 반영하여 특별한 테마를 정하고 차례상을 준비해 보세요.
  • 작은 소품으로 꾸미기: 꽃이나 촛불 등 작은 소품을 활용하여 차례상을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습니다.
  • 가족 사진 전시하기: 가족 사진을 함께 전시하여 추억을 공유하고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